저축은행 M&A 핀테크 다크호스 부상

저축은행 M&A 핀테크 다크호스 부상 저축은행 인수 시장에 새로운 다크호스가 등장했다. 핀테크 스타트업들이 단순한 플랫폼 중개자의 역할을 넘어 금융업의 직접 플레이어가 되기 위해 저축은행 M&A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. 예금 수신 기능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자금을 조달하고, 이를 통해 중금리 대출 및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려는 전략이다. 이는 저축은행 업권 재편과 맞물려 산업 전반의 지각 변동을 일으키고 있다. 저축은행 매물 증가와 업계 지각변동 저축은행 업계는 최근 몇 년간 고금리 기조와 부동산 경기 침체라는 복합적 악재에 직면했다. 특히 프로젝트파이낸싱(PF) 부실이 심화되면서 중소형 저축은행들의 재무 건전성이 크게 흔들렸다. 이러한 상황은 자연스럽게 M&A 시장 활성화로 이어졌다. 정부도 부실 저축은행 정리를 위해 한시적으로 규제를 완화하며 동일 대주주 보유 한도를 늘리고 금융지주 인수 절차를 간소화했다. 그 결과 시장에는 30여 개의 잠재 매물이 등장했고, 이 과정에서 알짜 매물까지 시장에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졌다. 업계 1위 SBI저축은행의 교보생명 인수 사례는 업계 지각변동의 신호탄이었다. 교보생명은 일본 SBI홀딩스가 보유한 지분 50%+1주를 9000억 원에 인수하기로 하며 저축은행 업권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. 이 사례는 대형 금융사가 저축은행을 전략적 자산으로 바라보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. 또한 OK저축은행 역시 상상인·페퍼저축은행 인수에 나섰으나 가격 조건 등으로 무산되었고, 향후에도 적극적으로 M&A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. 이처럼 대형 금융사와 중견 플레이어들이 경쟁적으로 시장에 뛰어드는 가운데, 핀테크 스타트업까지 가세하면서 판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. 예금자보호한도의 상향도 M&A 시장에 불을 지피는 요인이다. 2024년 9월부터 예금자보호한도는 기존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늘어나며, 금융당국은 최대 25조 원의 신규 예금이 유입...